[1]
제물을 바치기 전에는 죄가 있다가 제물을 바친 후에는 죄가 사라지는 것일까?
오히려 죄가 없기 때문에, 제물을 바치는 자격이 주어진 것 아닐까.

[2]
제물을 바치는 사람은 공적인 자리에서 죄가 있다는 게 드러난다.
그것이 개인적인 수치심이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게 세상의 전략이다.
그의 죄에 함께 부끄러워 하기 위해, 죄의 연대체가 되기 위해 공식적인 자리가 제공되는 것 아닌가.
그가 죄가 없는 것은 우리가 죄가 있기 때문이다.

[3]
제물은 자신이 원해서 그 자리로 가는 게 아니다.
죄를 짓는 존재들은 죄를 책임질 수 없다. 그래서 죄를 덮어 씌운다.
평화는 말한다. 평화라는 것은 너희가 약자들을 제물로 배제하는 상태라는 것이다.

[4]
참사의 피해자들을 평화를 위한 희생양이라 말하는 게 우리다.
제물이란, 나와 우리의 죄를 위해 약자의 피와 살덩이가 마녀사냥 처럼 불태워지는 그 향기다.
그 앞에서 연기를 바라보느냐, 죄가 없는 나를 바라보느냐의 선택이다.

[5]
죄는 빼앗은 걸 돌려주는 걸로 해결되지 않는다.
빼앗으면서 내가 얻는 것은 1이라면, 빼앗긴 사람은 2를 빼앗기기 때문이다.
그것은 온전한 순환의 고리가 깨어졌기 때문이다.
그러한 고리가 깨졌기 때문에 2를, 3을 돌려주어도 채워질 수 없다.

[6]
우리가 제물을 불태우는 위선적 존재임을 시인할 때, 죄를 해결할 어떤 방법도 없다는 걸 인정할 때, 우리 모두 가해자의 동료라고 고백할 때, 그때에 우리는 제물에게 속한다.
제물이 우리 생명의 주인이 된다. 나의 부모나 자식을 무쇠솥에 삶은 것 이상, 생명의 주인이란 것은 그 이상을 뜻한다.

[7]
영영 우리가 채울 수 없기에, 그때에 우리는 이미 채워져 있음을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.
은혜라는 것은 단지 따뜻하고 자신감 생기는 것이 아니다. 은혜라는 것은 살과 피가 삶아지고 불태워지는 그 비명이다.

'고요한 시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기독교의 신은 신발이다  (0) 2018.06.15
혐오와 이상적 세계  (0) 2018.03.31
사도행전 21:37-22:11  (0) 2018.02.26
창세기 2:20-25  (0) 2018.02.20
사도행전 15:1-11  (0) 2018.02.07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