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독교에서는 삼위일체란 교리가 있다. 태초부터 성부, 성자, 성령이 함께 있었다고 한다.

그런데 성경을 보면 성자에 해당하는 예수가 서례를 받고서야 성령이 함께 한 것으로 묘사한다. 이 땅으로 올때에 성령과 잠시 이별했던 것인가.

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, 기독교의 신은 그 시대의 법칙, 인간의 도를 따른 다는 것이다. 물질 세상과 분리되지 아니하고, 언어가 아닌 몸으로 답을 제시하는 것이 기독교 신의 특성이다.

신이 인간과 같아지는 장면을 바라보며, 이 시대에서 신과 같은 사람의 결과가 무엇인지 잠시 돌이켜본다.
그는 권력 논리의 희생양이 된다. 자신이 지키려고 했던 사람들에게 배신당하고 조롱당한다. 마녀사냥으로 가장 끔찍한 사형을 당한다.
신과 같으면 그렇게 만드는 것이 이 시대이다.
그러나 그 결과 또한 이 시대에 존재하는 진짜 법칙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.
시대는 인간을 말살하려 하나, 인간은 시대에 굴복하지 아니하고 앞 서 있는 사람들을 따라서 사람다움을 펼치게 된다.

많은 사람들이 내가 생각하는 능력을 기준으로 둔다. 신과 동일한 영, 신과 동일한 뿌리를 가졌다는 것은 개념일 뿐이다. 놀랍지도 신비하지도 않다. 다만 내가 가진 게 없어서, 모자라서 힘든 것이니 내 능력을 길러야 한다. 이 시대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만만한 일이 아니다.
시대를 바라보는 건 현실적 삶이다.

그러나 하나 되는 영을 바라보는 건 존재적 삶이다.
기독교에서 성령은 여러 명이라서 힘이 쎈 높은 성령과, 미약한 천한 성령이 있다고 하지 않는다. 한 성령이라고 한다. 나와 함께 하는 성령은 신과 함께 성령과 동일하다.
내가 이미 가진 것이 무엇인지를 보는 일은 전혀 다르다.

우리의 육체는 신과 같은 곳에서 나왔다. 우리의 육체와 정신은 수억년 전 하나였다. 지금이란 것은 그 하나가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된 돌아오지 않는 작품이다.
신비는 그것이다.
마술 같은 것들, 휘황찬란한 물질과 권력은 현실일지 몰라도 진짜는 아니다. 진짜의 신비 속으로 들어가면 모든 일은 달라진다.
이미 충분하다는 걸 알면, 이상하게도 하나 되는 여정을 위해 더 큰 능력과 더 큰 즐거움과 더 큰 인내심이 생길 것이다.

진정 성령이 무엇인가. 그 힘은 무엇인가. 우리는 알 수 없다. 그것이 명확하다 말하는 사람은 시대를 바라보는 사람이다.
신비를 바라보는 사람은 성령을 자랑하지 아니한다. 다만 하나 되는 여정으로 들어가 있을 뿐이다. 물론 그 여정이 무엇인지도 명확할 수 없다. 다만 그는 사람다워져 간다. 그것으로 성령이 시대 속에서도 자랑이 되게 한다.

기독교란 것은 자신이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.
사람들이 저 사람은 기독교인이라고 말해주는 것이다. 증명되게 사는 것이다.

여정.
지금 나에게 이르기 까지의 태초부터의 여정.
그것을 받아 오늘 내가 펼칠 여정을 바라본다.

'고요한 시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누가복음 4:14-30  (0) 2016.01.13
누가복음 4:1-13  (0) 2016.01.12
요 3:16, 요일 3:16  (0) 2016.01.02
성탄절  (0) 2015.12.25
시편 101편  (0) 2015.12.23

+ Recent posts